목록전체 글 (287)
개발자는 기록이 답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z8q7/btsv7wVcl4l/8X0oYYuzL904f9hApMVRt1/img.png)
4. . 피보나치 재귀(메모이제이션) 예시 입력 1 10 예시 출력 1 1 1 2 3 5 8 13 21 34 55 피보나치 수열은 2가지 방법으로 풀 수 있습니다. 1. 배열로 for문 사용 2. 재귀로 풀기 둘중에 어떤게 성능이 더 좋은가? 당연히 1번이다. 재귀는 함수가 하나 호출될때마다 스택 프레임이 생겨서 메모리 낭비도 많이 되고 무거워서 성능이 더 안좋다. for문은 함수 하나를 만들었을 경우 스텍 프레임 하나만 가지고 돌기 때문에 그 안에서 지역변수, 배열만들어서 도는 것이다. 특정 항의 값을 리턴해주는 방법(피보나치 수열의 n번째 항만 리턴) 1. n은 몇번째 항인지를 의미한다. 2. 첫번째항과 두번째 항은 1을 리턴한다 3. 3번째 항부터 앞에 있는 2개 항을 더해준다. public cl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R35x2/btsvXc39LIM/8Tkb2pjdnucFhOojJ7E9S1/img.png)
3. 팩토리얼 예시 입력 1 5 예시 출력 1 120 내가 푼 풀이 public class Main { int answer = 1; public int DFS(int n) { if(n == 0) return 0; else { answer *= n; DFS(n - 1);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ystem.out.println(T.DFS(5)); } } 강의 풀이 public class Answer { public int DFS(int n) { if (n == 1) return 1; else return n*DFS(n-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7Bx5/btsv7wUsuRJ/jLqYCj0NTDgFTifaIyKbwk/img.png)
2. 이진수 출력(재귀) 예시 입력 1 11 예시 출력 1 1011 10진수를 2진수로 바꿀때 나눈 나머지가 2진수가 됩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void DFS(int n) { if(n == 0) return; else { System.out.print(n+" "); DFS(n/2);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T.DFS(11); } } 11 5 2 1 목표는 몫이 아니라 나머지이기 때문에 아래처럼 코드를 수정해줍니다. 또한 1011순서로 출력되기 위해 print함수를 DFS호출하는 아래에 넣어줍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void DFS(int n) { 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6a1c2/btsvXWNagnq/So1reulbK1u3GQQEHMOySK/img.png)
1. 재귀함수(스택프레임) 예시 입력 1 3 예시 출력 1 1 2 3 public class Main { public void DFS(int n) { if (n == 0) return; else { System.out.print(n + " "); // (1) 3 2 1 DFS(n - 1); System.out.print(n + " "); // (2) 1 2 3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T.DFS(3); } } 위의 코드에서 보는 것 처럼 출력을 몇번째 줄에서 하느냐에 따라 반환값이 다르게 나타난다. 1번의 경우 3 2 1로 출력되고, 2번은 1 2 3으로 출력된다. 재귀함수 위에 놓는지 아래에 놓는지에 따라 출력..